본문 바로가기

MySQL/MySQL 활용

(11)
쇼핑몰 서비스의 DB 구축 - 3 User Table Product Table Order Table Order Detail Table 🔔 주문(orders) 테이블과 주문 상세(order_details) 테이블을 분리하여 설계한 이유는 뭘까?       →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원칙에 기반한 것🔔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중요한 과정으로,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, 데이터 무결성을 향상시키며, 수정, 삽입, 삭제 등의 데이터베이스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 주문과 주문 상세 테이블 분리의 목적중복 제거: 주문 정보와 주문 상세 정보를 하나의 테이블로 관리할 경우, 주문 정보(예: 주문자 ID, 주문 날짜)가 각 주문 상품마다 반복적으로 저장됩니다. 이는 데이터 중복을 초래하고, 디스크 공간을 불..
SELF JOIN - 2 🔔 Self join은 하나의 테이블 내에서 자기 자신을 조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이는 동일한 테이블에서 서로 다른 행을 비교하고 조작하는 데 사용됩니다. Self join을 사용하면 동일한 열을 가진 두 개의 서로 다른 인스턴스 간의 관계를 파악하거나 계층적인 구조를 나타낼 때 유용합니다.예를 들어, 조직 구조에서 각 직원이 직속 상급자의 정보를 확인해야 할 때 self joi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각 직원은 같은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지만, 상급자와 직속 부하 직원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자기 자신과의 조인을 수행합니다. --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employees( employee_id int, employee_name varchar(255), employee_phone..
정규화란(1단계) - 1 정규화란데이터베이스에서 정규화는 데이터를 조직화하고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설계를 시스템적으로 개선하는 과정입니다. 정규화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가 가능해집니다 정규화(Normalization)의 기본 목표테이블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여 이상 현상을 방지하고,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.🔔 데이터의 무결성(Integrity)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정확성, 일관성 및 신뢰성을 유지하는 특성을 말합니다.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가 정확하고 일관된 상태로 유지되고 시스템에서 정의한 규칙, 제약 조건, 비즈니스 규칙을 준수하여 데이터의 품질을 보장하며, 응용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데이..